
최저임금은 근로자가 최소한으로 받아야 하는 임금을 의미하며, 이는 노동자의 생활을 보장하고 경제적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최저임금이 정해지면, 많은 근로자들이 그 기준에 따라 임금을 받게 되므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최저임금 제도는 1953년에 근로기준법을 제정하면서 제34조와 제35조에 최저임금제의 실시 근거를 두었으나, 당시 우리 경제가 최저임금제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이 규정을 운용하지 않았습니다. 저임금의 제도적인 해소와 근로자에 대하여 일정한 수준 이상의 안정된 생활을 보장해 주기 위하여 최저임금제의 도입이 불가피해졌고, 우리 경제도 이 제도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판단 1986년 12월 31일 최저임금법을 제정.공포하고..

대한민국의 선거 중 하나로, 재선거와 보권선거를 합친 말이며 국회의원, 광역다네장, 기초단체장 교육감, 광역의원, 기초의원의 빈자리가 생겼을 때 이를 메우기 위해 실시하는 선거를 말합니다. 재보권선거는 재선거와 보권선거로 나뉘며 전임자의 잔여 임기만을 재임하는 선거입니다. 2024년 10월 16일은 보궐선거일로 예정되어 있으며, 보궐선거일이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공휴일로 유일을 부여 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관련법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 제2조 (공휴일)관공서의 공휴일은 다음과 같다. 다만, 재외공관의 공휴일은 우리나라의 국경일 중 공휴일과 주재국의 공휴일로 한다.1. ~ 10. 10의2. 공직선거법 제34조에 따른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의 선거일11. ..

이번 정부에서 내수경기, 군 사기진작 등의 효과를 위해 2024년 국군의날 임시공휴일로 지정함에 따라 근로자가 소정근로의무가 있는 날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연속적으로 연차휴가를 사용하여 1주동안 휴무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회사는 경영상 판단에 따라 해당 소정근로일에 연차휴가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고자 할 때 이에 대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관련법규-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유급휴가)① ~ ④, ⑥ ~ ⑦ 생략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

질병관리청에서는 2024년 9월 20일(금)부터 2025년 4월 30일(수)까지 독감 예방접종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올겨울 독감(인플루엔자) 유행에 대비하여 적극적인 예방접종 권고를 하고 9월 20일 2회 접종 대상 어린이부터 시작하며, 10월 2일부터는 1회 접종 대상 어린이와 임산부 접종이 시작 됩니다.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세계보건기구(WHO) 권장주가 모두 포함된 4가 백신을 활용하며, 사업 대상별 접종 시행 시기 이전에 배송이 완료 예정이라고 합니다.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대상자가 아닌 경우에도 일선 의료기관에서 유료로 접종이 가능하며, 접종 가능한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는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가능합니다.안전한 접종을 시행하기 위해 접종 기관 방문시 신분증은 지참을 하여..